본문 바로가기

시사정치사회

유치원 돌봄교실 방과후과정 강사 무기계약직 전환

유치원 돌봄교실 방과후과정 강사 무기계약직 전환

 

 

유지원 돌봄교실강사, 방과후 강사 무기계약직 전환

 

교육부 정규직 전환 심의위는 이날까지 모두 6차례 회의를 열어 의견을 청취했으며 다음 달 5일 최종 심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정규직전환 공통 기준이 마련되는 8개 직종은

△기간제 교사 △영어회화 전문 강사 △초등 스포츠 강사 △다문화언어 강사 △산학 겸임 교사 △교과교실제 강사 △유치원 돌봄교실 강사 △유치원 방과후과정 강사이다.

 

 

 

 

유치원돌봄교실 강사, 방과후 강사 무기계약직 전환(예정)

 

유치원돌봄교실 강사, 유지원방과후과정 강사

무기계약직 전환 계획

 

교육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공통 기준을 마련해 온 교육부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가 우선 유치원 돌봄교실 강사와 유치원 방과후과정 강사 1000여 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법령에서 계약 기간이 명시되지 않은 유치원 돌봄교실 강사(299명)와 유치원 방과후과정 강사(735명)는 무기계약직 전환이 유력하다고 알려졌다.

심의위는 두 분야의 강사 명칭을 ‘유치원 방과후 전담사’로 통일하는 안을 마련했다.

 

기간제교사 정규직전환 대상 제외

 

비정규직 8개 직종(5만5000여 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간제 교사는 전환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심의위 논의 결과 기간제 교사와 영어회화 강사, 초등 스포츠 강사에 대해선 ‘상시·지속적 업무’라는 정규직화 조건은 충족하지만 교육공무원법 등 관련 법령과 가이드라인이 충돌하면서 “당장 정규직 전환이 어렵다”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심의위는 “현행 법령 안에서 상식적인 결론을 만들어야 하지만 고용 지속성 보장이나 처우 개선 등 ‘제3의 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각각 이해를 조정해 만장일치로 기준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간제 교사 편법 채용을 막고 그 대신 정규직 교사 임용 규모를 늘리는 방식으로 점진적인 정규직화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동아일보기사인용[5만 교육 비정규직중 유지원돌봄교실강사, 유치원방과후과정강사 1000명만 정규직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