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치사회

친환경인증 신소재 아웃라스트 유아용매트 유해성 방부제 검출 발표

친환경인증 신소재 아웃라스트 유아용매트 유해성 방부제 검출 발표

 

 

아웃라스트 신소재 유아용매트 피부발진사고 조사 발표

 

국가기술표준원 '신소재' 유아용 매트 사고조사 중간결과 발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피부·호흡기 질환 논란을 일으킨 아웃라스트 소재로 만든 유아용 섬유제품에 대한 조사 중간결과를 아래와 같이 24일 발표했다.

 

① 피부노출에 의한 안전성이 우려되는 수준으로 평가됨
② 사고재발방지를 위해 관련업계에 설계·제조시 주의 권고

 

지난 6월 발생한 '아웃라스트 신소재' 유아용 매트 사고조사의 중간결과를 피부발진 사고는 제품에 피부감작성 물질인 방부제가 사용되었고 제품에서 하얀 가루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피부 등에 직접 노출된 것이 원인으로 판단

 

 

 

□ 유아용 매트 사고조사 과정 및 결과

 

① 건강영향조사, 피부노출에 의한 위해평가, 피부관련 동물시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건강영향조사 참여자 396명 가운데 제품 사용 중 71명(17.9%)은 피부질환, 47명(11.9%)은 호흡기 질환이 발생되었다고 진단 받았음

 

 

 

아웃라스트 신소재 유아용매트 피부발진사고 조사 발표

 

 

- 제품을 사용한 사람들의 접촉성피부염 등 피부질환 진단율이 전국 통계보다 유의하게 높고 제품 사용 중단 후 회복된 점을 고려할 때, 제품사용이 피부질환을 초래한 것으로 추정됨

 

- 제품 사용 중 발생한 하얀가루의 피부독성을 예측하기 위해, 동물시험을 실시한 결과, 피부감작과 안(眼)점막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평가됨

 

- 피부감작성(알레르기반응)시험 결과 "보통"등급의 피부감작유발물질로, 안(眼)점막 자극시험결과 "약자극물질"로 평가됨

 



 

□ 건강영향조사에 참여한 전문의 의견

 

 ㅇ 유아용매트 사고초기에 소비자가 사용을 중지하고 정부가 리콜을 실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ㅇ 정밀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우 대부분 아토피피부염으로 진단되었고 호흡기질환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ㅇ 제품 사용 중단 후 약 95%의 사용자가 완치 또는 호전되어 추가적인 피부질환이나 호흡기질환이 발생하거나 지속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 국표원의 제품 흡입독성 추가 검사 계획

 

 ㅇ  아웃라스트신소재 유아용매트 제품 사용 중 발생한 하얀 가루가 기관지염 등을 유발할 개연성도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흡입독관련 조사를 계속 진행하고,

 

 ㅇ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관련 업계에 어린이용 제품에는 해당 신소재의 사용을 피하고 성인제품도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설계·제조하도록 권고할 예정임

 

자료 국가표준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