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치사회

2018교육예산 보육료 유아교육비, 맞춤형국가장학금 등 지원 확대

2018교육예산 보육료 유아교육비, 맞춤형 국가장학금 등 지원 확대

 

 

유아교육비/보육료/ 국가장학금 소득4분위로 지원 확대

 

 

국회에서 확정된 새정부 교육분야 핵심 예산 요약

 

 

유아교육비 보육료 지원 

 

정부-교육청 간 누리과정에 대한 재정부담 갈등 해소 및 국가책임 확대

내년부터는 어린이집 누리과정 전액(2 586억원)을 국고로 지원하기로 하였으며, 유치원 누리과정은 기존과 같이 교육세로 부담할 계획이다.

어린이집 누리과정은 2017년의 경우 국고 41.2%지원(국고 8,600억원/총 소요액 2 875억원)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확대

 

 

 

 

 

① 등록금 절반이상 지원대상 범위를 소득4분위까지 확대 국가장학금 지원 ('17학년도 기초~소득 3분위까지 지원)

※ 예산 증액 규모: (’17) 3.63조원 → (’18) 3.68조원(+499억원)

 

향후 5년간 국가 지원 예산 총 1조원을 추가 투입하여, 가구 소득이 낮은 대학생부터 단계적 반값 등록금을 실현해 나아갈 계획이다.

 

 

 

 

행복기숙사 - 연합기숙사 형태 건립 지원

 

 

 

대학생들의 주거안정과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저금리의 공공기금(주택도시기금 및 사학진흥기금)을 지원하여,

 

② 사립대 내에 건립하는 공공기숙사와 국공유지를 활용하여 학교 밖에 여러 대학의 학생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연합기숙사 건립을 추진한다.

※ (’17) 894억원, 신규 5개 내외 → (’18) 1,059억원, 신규 6개 내외(+165억원)

 

고금리의 사립대 민자사업을 저금리의 사학진흥기금으로 대환대출을 통해 기숙사비 부담 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17) 49억원, 1개 사업 → (’18) 57억원, 1개 사업(+8억원)

 



 

개인기초연구 지원

 

이공 분야 풀뿌리 기초연구 저변을 확대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에 기반한 혁신적 기술개발 촉진을 위해 개인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였다.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17) 3,034억원 → ('18) 3,484억원(+450억원)

 

특히, 단기 성과 중심 연구가 아닌, 실패 가능성을 전제한 창의도전적 연구(한국형 SGER*)와 국가 차원의 전략적 보호·육성이 필요한 보호소외 분야** 연구에 대한 지원을 집중 강화할 계획이다.

* SGER(Small Grant for Exploratory Research) : 실패 가능성을 전제한 창의도전적 연구

** 문화재 침하 및 풍화 대책복원 기술, 생태 및 환경생물학 등 10개 분야

 

대학원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연구 중심의 기존 대학원과 달리 기술창업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 대학원 육성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창업 역량을 보유하고, 기술 이해도가 있는 학생을 모집하여 창업 장학금, 창업 연구수당 등을 지원하고 창업 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창업실행으로 졸업하는 대학원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학원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신규) : (’18) 8.2억원(5개 대학 × 1.5억원)

 

대학창업펀드 조성

 

대학이 펀드를 조성하면 정부가 자금을 매칭하여 대학 내 초기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대학창업펀드는 ‘17년 대비 30억원 증액된 150억원이 지원된다.

 

대학창업기업들이 대학창업펀드를 통해 창업 초기 단계부터 대학 내 창업 생태계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규모를 확대하였다.

대학 창업펀드 조성 : (’17) 120억원 → (’18) 150억원(+30억원)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

 

’18년부터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의 실질적인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평생교육 바우처를 지원한다.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을 통해 그간 초중등 및 고등교육 단계 중심인 교육복지를 평생교육까지 확대하여, 소외계층의 평생교육 기회를 국가 차원에서 보장해 나갈 계획이다.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신규) : (’18) 24억원(5천여명 지원, 1인당 연간 최대 35만원 지원)

 

 소외계층 영재교육 지원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소득격차나 사회적·지리적 배경으로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소외계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도서벽지 거주자, 특수교육 대상자, 다문화 등 맞춤형 영재교육 프로그램(리더쉽캠프, 학습멘토링, 진로멘토링, 사사교육 등)을 시범 운영하여 잠재력을 발현할 수 있는 교육기회 제공을 통해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신규) : (’18) 10억원

 

재외동포교육 운영지원

중국 위해시 중세한국국제학교의 한국부 운영 중단(2018.3.)으로 인한 교민자녀 교육공백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18 3월 웨이하이한국학교 신설 예산(11.3억원)이 신규 반영되었으며,

 

아울러, -프 간 행정약정(‘16.6.)에 따라 개설된 프랑스 내 한국어 국제섹션 수업을 담당할 정규교사 파견(4개교 5) 사업(1.7억원)이 신규 반영되었다.

 

□ 교육부는 향후 국회에서 확정된 예산안의 반영 취지 등을 살려 사업계획 및 집행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고, 회계연도 개시와 함께 교육분야 국정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자료: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