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치사회

교통비 30% 줄여주는 광역알뜰교통카드, 세종시 시범 도입

교통비 30% 줄여주는 광역알뜰교통카드, 세종시 시범 도입


울산·전주에서도 시범사업·내년부터 본격 도입 확산

‘국민 교통비 부담 경감을 위한 광역알뜰교통카드 도입’의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고, 세종시 시범사업(4. 30.)에 앞서 시연행사 및 체험단 발대식(4. 16.)를 진행했다.


광역알뜰교통카드의 주요 내용

 

대중교통·보행·자전거 이용 장려와 승용차 이용 억제

 

① 첫째, 기존의 권역별 환승할인*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월 44회의 정기권을 10%의 할인된 금액으로 판매한다.
 * 수도권의 경우, 1회 이용가격으로 최대 5회까지 환승 가능
 - 정기권 발행은 별도의 국가의 재정투입이 없이 정기권 금융이자, 미사용 금액 등을 활용하여 민간 카드사가 자발적으로 추진한다.

 

광역알뜰교통카드 정기권 속성(음영)

 

계층별

구역별

기간별

횟수별

수단별

가족권

1(시내)

1일권

회수권(44)

일반권

학생권

1주일권

일반권

2,3,4,5

(거리비례제)

1개월권

무제한권(가족)

특수권(예정)

(공역철도/버스 등)

버스권(노인)

 

올해 상반기 중 세종·울산·전주시에서 정기권 시범 발행을 거쳐, 2019년부터 정기권 발행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대상 지역을 점차 확대해 전국으로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② 둘째, 정기권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이용 실적 점수, 이하 ‘마일리지’)를 지급(최대 20%) 함으로써, 10%의 정기권 할인과 함께 최대 30%의 교통비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 개인의 위치기반 정보, 이동평균속도로 보행·자전거를 구분하여 측정하는 모바일 앱을 별도로 구축하여 마일리지를 산정할 예정이다.
- 아울러, 교통유발부담금* 개선, 건강기금 활용**, 공공기관 참여 확대*** 등 추가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안을 발굴할 예정이다.
 * 기업이 종사자에 마일리지 제공 시 부담금(1,000㎡이상 건물에 부과) 경감(붙임 2 참조)
 ** 미국, 일본 등은 건강기금을 조성·활용하여 걷기 등 신체활동을 촉진하는 프로그램 운영 중
*** 지자체(지원조례 제정 지원), 국책연구단지(10% 추가지원 예정, 자체예산) 등

 

③ 셋째, 통합교통시스템(One Platform, All Mobility)을 통해 정기권 구입과 마일리지 적립 및 이용뿐만 아니라, 기존 대중교통 이동 경로·환승시간, 보행·자전거까지 연계된 최적 맞춤형 이동계획을 새롭게 제공할 계획이다.

 

④ 넷째,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개인의 대중교통 및 보행·자전거 이용에 따른 개인 맞춤형 정보(경제·환경·사회·보건적 편익)*를 제공하여 자발적 승용차 이용 감축을 유도할 계획이다.
 * 자가용에서 보행·자전거로 전환 시, 1km당 8,552원 편익 발생(한국교통연구원, ‘17)


□  광역알뜰교통카드 시범사업 계획

 

(전주·울산시) 정기권 시범발행(롯데 이비카드, ’18.6~)

 

 ㅇ (선정 배경) 단일 요금제 및 정산 체계, 시내버스 위주의 단순한 대중교통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분담률이 낮음
 ㅇ (사업 내용) 한 달간 대중교통을 44회* 이용시 교통요금을 10% 할인(기존5.5→5만원)해주는 정기권 발행 추진
    * 현재 전주/울산시는 44회 발행과 실제 통행패턴에 맞는 맞춤형 횟수 검토중

 

자료 : 국토교통부(교통비 30% 줄여주는 광역알뜰교통카드 시범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