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게임정보

HACCP해썹 인증농장 살충제 계란 발견

HACCP해썹 인증농장 살충제 계란 발견

 

HACCP(해썹)인증 표시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18일까지 마무리된 정부의 전국 산란계 농장 전수조사 결과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이 나와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은 49곳이다.

 

이 가운데 HACCP 인증을 받은 농가는 29곳(59%)이나 됐다.

 

살충제 성분이 나온 산란계 농장 10곳 중 6곳이 식품안전관리 인증기준인 ‘HACCP(해썹)’을 획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증원은 작년 11월부터 생산단계 계란에 대한 살충제 잔류 검사를 HACCP 인증기준에 포함했지만 살충제 계란을 걸러내지는 못했다. 유통단계에서는 기준 조차 없어 잔류검사가 아예 이뤄지지 않았다.

 

 


 

HACCP(해썹)이란? -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식품의 원재료 생산 제조, 가공, 조리,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에서 부터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가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12월에 도입하였다. 식품위생법에서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 한다.인증은 식약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담당한다.

 

HACCP은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규정된 12단계와 7원칙으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축산식품에 있어서는 1997년 12월 축산물가공처리법(현재 축산물위생관리법)에 HACCP 제도 도입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1998년 8월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제정하여 2000년 7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연차적으로 전국의 모든 도축장에 HACCP을 의무적용하도록 하였으며, 집유업 및 축산물 가공품의 경우 2013년 3월부터 HACCP을 의무적용하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