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게임정보

빅데이터 이용 전립선비대증 진단 프로그램 개발

빅데이터 이용 전립선비대증 진단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병원은 오승준 비뇨기과 교수팀이 전립선비대증 수술여부를 확률로 계산해주는 의료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세계최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50대 이상 남성이 흔히 겪는 전립선비대증은 중·노년층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질병 중 하나이다.

주로 소변을 보기 힘들거나 소변을 보고 나서 잔뇨감, 빈뇨, 절박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전립선 비대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경과를 지켜보거나 약물치료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수술을 실시한다.

지금까지는 수술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의료진의 자의적 해석이 개입될 여지가 많았다.

 

 

 

빅데이터 활용한 전립선비대증 수술여부 판단 - 비용과 시간 절약

 

위 연구팀은 서울대병원에서 10여 년간 체계적으로 축적된 ‘요역동학검사’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번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중요 판단지표인 나이, 최고요속, 잔뇨량, 전립선부피를 입력하면 ‘하부요로폐색’ 정도와 ‘수술필요 확률’을 수치화 해준다.

 

오 교수는 “수술판단이 지연되거나 불필요한 수술을 하면 전체치료기간이 늘어나 의료비용이 낭비 된다”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적정진료가 이뤄지면, 의료보험 재원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대병원은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료에 참고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의료진들이 사용하는 의료기기로 분류돼 식품의약품안전처의허가를 추진 중에 있으며, 향후 미국시장에도 상용화할 예정 이다.

 

한편 연구팀은 최근 국제 신경비뇨기과 저널(International NeurourologyJournal)에 개발 전 과정을 담은 논문을 게재했다.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하는 원인


첫째 원인은 노화(연령 증가)현상이다.

 

전립선비대증은 40대 이후부터 서서히 시작되어 60대에는 60~70% 정도 나타나고, 70세가 되면 거의 모든 남성에서 나타날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므로 노화의 일종으로 이해되기도 합니다.

둘째로 남성호르몬의 변화에서 발생한다.

 

연령이 증가하면 고환에서 생산되는 남성호르몬의 양이 줄어들지만 남성호르몬 전환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활동형 남성호르몬의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조선비즈 기사인용 [서울대병원 "빅데이터로 전립선비대증 환자 수술 필요 여부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