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부동산정보

부동산 P2P 대출상품 투자 부실 경고

부동산 P2P 대출상품 투자 부실 경고

 

자료출처: 서울경제, 금융위원회

 

 

부동산P2P 대출업체들이 운용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상품에 대한 부실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P2P 업체들은 지난해부터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상가건물이나 다세대주택 PF 상품을 잇따라 출시해왔지만 도중에 공사가 지연되거나 중단되면서 만기 때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P2P 업체들은 지난해부터 부동산 PF 투자상품을 앞다퉈 출시했다. 실제 신용도가 낮아 시중은행의 문턱을 넘지 못하거나 추가 건설자금이 필요한 차주들이 P2P 업체의 손을 빌리면서 대출 규모가 급증했다.

 

최근 한 부동산 P2P 업체의 연체율이 10%에 달하고 부실률이 3%를 넘으면서 지난해 대출모집을 시작해 올 하반기 만기가 임박한 PF 대출이 부실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안정성과 수익성’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매력이 부각된 부동산 P2P 투자에 연체율 상승 등 부실 징후가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P2P 투자시장 현황

 

실제 일부 부동산P2P 업체들은 만기가 임박한 대출상품 상환이 어려울 경우 같은 대출상품에 다시 투자자를 모집하는 ‘돌려막기’를 통해 연체율을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P2P 업체의 부동산 PF 대출이 부실해지는 것은 대부분의 업체가 부동산 PF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아 PF가 중간에 부실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완공이 임박해 급하게 자금이 필요한 차주들에게 부동산P2P 업체들이 브리지론(단기대출)을 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P2P 투자 위험 요인

 

부동산 P2P 대출중개업체들은 대부업으로 분류돼 차주에 대한 대출제한이 없기 때문에 부동산 PF에 사실상 무제한 투자가 가능해 부실 파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저축은행은 관련법에 따른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에 한해 PF 대출이 가능한 반면 부동산P2P 업체들은 투자자를 위한 이 같은 기본적인 안전장치도 없는 셈이다.

 

P2P 업계 전체 누적 대출액은 4월 현재 1조1,298억원에 달할 정도로 급속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규제장치가 허술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지료출처: 서울경제기사인용[부실 경고음 커지는 P2P 부동산PF 대출 2017.6.26]